우울증은 우울장애 또는 주요우울장애라고도 불리며, 우울감과 무기력, 즐거움 상실, 또는 짜증과 분노의 느낌을
지속해서 유발하는 ‘장애’입니다.
기분, 생각 및 행동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정서적, 신체적 고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우울증의 원인은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원인으로 여러 가지가 제시되고 있으며, 생물학적, 심리적, 환경적인 요인들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평생 한 번만 발생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여러 번 겪는 경우가 흔하며 다음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와 정신치료(심리치료)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에게 효과적입니다.
치료가 증상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므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가능한 여러 치료방법의 선택에 대해서는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벼운 우울증은 정신치료만으로 호전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우울증에서는 정신치료와 함께 약물치료가 필수적이며 그 외 비약물학적 치료를 권고할 수도 있습니다.
강한 인간관계를 가지는 것은 우울증의 영향을 줄이고, 개인적인 만족감에도 도움이 되며, 수면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 약속을 건너뛰지 마십시오. 기분이 나아지더라도 약을 건너뛰지 마십시오. 중단하면 우울증 증상이 다시 나타날 수 있으며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기분이 나아지는 데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나의 상태를 이해하는 것이 치료 계획을 유지하는데 동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가족이 우울증에 대해 배우고 이해하고 도울 수 있도록 격려하십시오.
증상이 악화될 경우 무엇을 할지 계획을 세우십시오. 증상이나 느낌이 변하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문의하시고, 가족과 가까운 사람들에게 경고신호를 알아차릴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요청하십시오.
알코올이나 마약성 약물이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증상을 악화시키고 우울증을 치료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알코올이나 마약성 약물 사용으로 인한 도움이 필요하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십시오.
국가정신건강포털 http://www.mentalhealth.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