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 ADHD

아동·청소년 ADHD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는 주의 산만함,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학령전기에서 성인기까지 여러기능(가정, 학교 사회생활 및 직업생활 등)에 지장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ADHD는 부주의형, 과잉행동 우세형, 충동 우세형, 혼합형으로 나눠집니다.

나이가 들면 저절로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불안장애나 반항장애 등 다른 질환이 동반되기도 하고, 절반 정도는
성인기까지 증상이 남아있게 됩니다.
소아청소년의 ADHD 증상은 전형적으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등의 증상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는 반면,
성인ADHD 증상은 소아청소년기의 전형적 증상과 다르고 다른 공존하는 정신건강 문제를 유발하기도 하여
진단 및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매우 어렵습니다.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는 안않지만, 유전적, 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 전두엽 발달 등과 관련된 뇌의 신경생물학적 요인이 가장 결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인 요소

ADHD 가계도 연구에서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ADHD 아동의 형제는 약 30%에서 발생하고, 부모가 ADHD인 경우에는 57%에서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 요인

ADHD 환자의 경우 전두엽과 연결된 인지조절 네트워크의 기능이 떨어져 있고, 인지조절 네트워크가 활성화 될 때에 정상적으로 약해져야 하는
디폴트모드 네트워크가 과활성화 되어있거나, 도파민 신경회로의 기능이 떨어져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임신 및 출산 중 합병증, 독성물질에의 노출, 기타 신경학적 손상에 의해 뇌의 전두엽과 관련된 신경 네트워크의 기능이 떨어지거나
구조적 위축 등을 유발 혹은 악화될 수 있습니다.

정신 사회학적 요인

심한 학대, 방임은 ADHD의 증상 중 주의산만, 충동성 조절의 어려움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증상

주의 산만한 증상

남의 말을 집중해서 듣지 못하고, 끝맺는 일을 잘 못하고 다른 자극에 산만해지는 모습

과잉행동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불필요하게 몸을 움직여서 다른 사람이 보기에 마치 모터가 달린 것처럼 움직이는 모습

충동성

어떤 행동을 잘 참지 못하고, 차례를 기다리지 못하는 등의 돌발적인 행동을 함으로써 문제를 일으키는 것

ADHD 아이에게는 학습이나 행동 문제로 인한 학교생활의 어려움이 흔하게 나타나며, 이런 문제들로 부모와의 갈등도 심해집니다.
이런 부정적인 경험이 반복해서 축적되면 부모와 아이 사이의 관계도 나빠질 뿐 아니라 나중에는 아이의 성격에 문제가 생깁니다. 자존감이 떨어지고, 공격적이고 불안한 성격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DHD 아동은 학습 장애, 불안 장애, 기분 장애, 물질 사용 장애가 일반 인구보다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납니다.

대체로 성인이 되면서 과잉행동은 다소 줄어들지만, 상당수는 증상이 계속 이어집니다.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들은 감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여 빈번하게 충동적이고 다혈질적으로 행동을 하므로 안정적인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많고, 오랫동안 직장생활을 하는 것을 힘들어하기도 합니다.

치료

ADHD 아동의 부모나 교사에게 약물치료를 권유하면 처음에는 의아해하거나 반대부터 하는 경우가 많지만, 약물치료는 ADHD에서 약 70%~80% 정도에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ADHD의 치료 핵심은 약물치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단,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증상이 경한 경우에는 약물치료 없이 환경수정이나 부모상담, 행동 수정등을 우선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 돌보는 방법

참고 및 출처

국가정신건강포털 http://www.mentalhealth.go.kr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http://adh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