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증스러운 기분
신체증상, 불안감 호소
등교거부, 대인관계 회피
집중력 저하, 과잉행동
자살사고
우울장애는 의욕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합니다. 아동·청소년 우울장애는 성인에 비해 인지, 사고, 감정 발달이 미숙하여 성인의 전형적인
우울한 감정보다는 다른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가면성 우울증이라고도 합니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기분변화에 따라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하기 쉬우므로 자살위험성이나 집단행동 등에 대한
세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조울증(양극성 장애)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인 요소
우울증 또는 기분장애 관련 가족력이 있는 경우 우울증이 발생할 위험이 더 높음생물학적 요인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뇌의 기능적/구조적인 변화신체적 요인
만성질환과 같은 특정 상태로 인해 위험이 높아질 수 있음심리사회적 요인
의존적 성격, 낮은 자존감, 부정적 가정환경, 아동·청소년기 외상 사건(트라우마)은 신체가 두려움과 스트레스 상황에 반응하는 방식에 영향초등학생
짜증스러운 기분
신체증상, 불안감 호소
등교거부, 대인관계 회피
집중력 저하, 과잉행동
자살사고
중·고등학생
짜증, 잦은 분노 표출
흥미상실, 자신감 저하
신체증상, 불안감 호소
학교 성적 저하, 대인관계 위축
식욕, 수면욕의 증가 혹은 감소
적대적, 반항적 행동
결석, 폭력, 절도, 가출, 약물남용, 게임중독
자살사고, 자살시도
조울증 치료는 다양하지만 가장 핵심적인 치료는 약물치료입니다. 그 외에도 정신치료, 가족치료, 전기경련치료 등 여러 치료들이 있습니다.
약물치료
항우울제는 신경호르몬을 조절하여 우울 증상을 개선, 증상이 호전되어도 재발을 막기 위해 투약 유지 필요
인지행동치료
자신과 주변 사람들, 주변 환경이나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찾아내어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합리적·생산적인 생각으로 바꾸어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치료방법
대인관계치료
우울증상이 대인 관계에서 겪는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개인이 주요 대인 관계 영역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효과적으로 소통하며 지지 자원을 늘리는 치료방법
국가정신건강포털 http://www.mentalhealth.go.kr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
경기도정신건강복지센터 https://www.mentalhealth.or.kr
대한정신건강재단 http://www.mind44.com